728x90
반응형
개요
웹 개발에서 모델1(Model 1)과 모델2(Model 2)은 흔히 사용되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두 모델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는 방식에 큰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모델1과 모델2의 차이점, 특징,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각각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델1 (Model 1)
모델1은 초기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아키텍처입니다. 주로 JSP와 서블릿을 사용하여 모든 처리를 하나의 페이지에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Model 1 특징
- 단일 페이지 처리: 모델1에서는 모든 요청 처리와 응답을 하나의 JSP 페이지 또는 서블릿에서 처리합니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오면 서블릿이 직접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를 JSP 페이지로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 직접적인 로직 처리: 모델1은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이 동일한 계층에서 처리되므로, 코드의 재사용성이나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Model 1 장단점
- 간단한 구조: 초기 개발에서는 간단하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학습 용이성: 모델1은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배우기가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 복잡도 증가: 애플리케이션이 커지면 비즈니스 로직과 UI가 결합되어 코드가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 재사용성 부족: 로직과 뷰가 결합되어 있어 특정 로직을 다른 페이지에서 재사용하는 것이 힘듭니다.
모델2 (Model 2)
모델2는 모델1의 단점을 개선한 아키텍처로,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따릅니다. 이 모델은 비즈니스 로직과 UI를 분리하여, 각 기능을 독립적인 컴포넌트로 나누어 개발합니다.
Model 2 특징
-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 분리: 모델2는 컨트롤러, 모델, 뷰를 분리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모델(Model),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컨트롤러(Controller), 사용자에게 결과를 표시하는 뷰(View)로 역할을 나눕니다.
- 유연한 확장성: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거나 변경할 때 유연성이 높습니다.
Model 2 장단점
- 유지보수 용이: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이 분리되어 있어 코드의 가독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재사용성 증가: 모델2는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들기 쉽고, 특정 로직을 다른 페이지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수정할 때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확장이 용이합니다.
- 초기 설정 복잡: 초기 설정과 개발이 모델1보다 복잡할 수 있습니다.
- 배우는 데 시간 소요: MVC 패턴을 완전히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모델1, 모델2 비교
모델1
|
모델2 | |
아키텍처 | 단일 페이지 처리 (JSP, 서블릿) | MVC 패턴 (모델, 뷰, 컨트롤러) |
비즈니스 로직 |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이 결합 | 비즈니스 로직과 프레젠테이션 로직 분리 |
재사용성 | 낮음 | 높음 |
유지보수성 | 낮음 | 높음 |
복잡도 | 낮음 | 상대적으로 높음 |
확장성 | 낮음 | 높음 |
적합한 상황 |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해야 할 때 규모가 작은 프로젝트 |
규모가 크거나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중요한 프로젝트 |
728x90
반응형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모듈 시스템 | CJS, AMD, UMD, ESM (0) | 2025.02.13 |
---|---|
CSS 확장 / Sass에만 존재하는 기능이 CSS에 통합 되다 ! (0) | 2025.02.12 |
웹 성능 분석 및 INP 최적화 | Lighthouse (0) | 2025.02.10 |
JavaScript window 객체: 주요 속성, 메서드, 이벤트 알아보기 (1) | 2024.11.22 |
패키지 로드 방법 비교: NPM vs CDN의 차이점 (2)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