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해당 문서는 수시로 업데이트 되는 문서입니다.
이름 | 설명 |
@anywhere | 앳애니웨어란 뉴욕타임즈 같은 언론사나 야후 같은 유명 사이트와 제휴를 해서 트위터 사이트로 이동하지 않고도 해당 사이트상에서 최근의 트위터 글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
5 Forces | 5가지의 기업환경 관련 동인들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관련 분석기법, 신규 진입자의 위협, 대체재의 위협, 공급자와의 교섭력, 구매자와의 교섭력, 산업 내 경쟁기업과의 경쟁강도 |
7S | 7가지의 인자를 바탕으로 한 기업 경쟁력 분석 기법 - Strategy, Structure, Systems, Staff, Shared Value, Skills, Style |
abstract class | 추상 클래스는 구체 클래스에서 구현하려는 기능들의 공통점만을 모아 추상화한 클래스로, 인스턴스 생성이 불가능하여 구체 클래스가 추상 클래스를 상속받아 구체화한 후 구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사용 |
abstraction | 추상화란 문제의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설계한 후 차례로 세분화하여 구체화 시켜 나가는 것 |
Accessibility | 접근성, 장애인 및 비장애인 모두가 웹 콘텐츠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 |
Ad-hoc network | 애드혹 네트워크란 네트워크의 구성 및 유지를 위해 기지국이나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기반 네트워크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노드(node)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기반 구조가 없는 네트워크 |
agile model | 애자일 모형은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변경에 유연하고 기민하게 대응하여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협력적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프로젝트의 생명주기 동안 개발 팀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고객과의 협업을 중심으로 반복적, 점진적인 계획을 통해 요구사항의 변화를 관리하고 또한 문서 작업보다 코딩과 테스트 기반의 접근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식이다 |
AJAX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 웹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지 않고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 |
Allocation | 할당이란 동일한 분할을 여러 서버에 생성하는 분산 방법으로 중복이 있는 할당, 중복이 없는 할당으로 나뉨 |
Ant | 빌드(build) 도구 중 하나로 Another Neat Tool의 약어이며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로, 자바 프로젝트의 공식적인 빌드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 |
Anycast | 애니캐스트는 일단의 수신자들을 묶어 하나의 그룹으로 나타낸 주소를 사용하여 그룹 내에서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게만 전송하는 1:1 통신 형태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는 방법과 형식을 규정한다, 즉, 라이브러리는 기능을 구현한 함수들을 모아 놓은 것이고, API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는 도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
apk | 배포용 파일 형식으로 Android용 앱 패키지 형식 |
APM |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란 최종 사용자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흐름 모니터링과 성능 예측을 통해 최적의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보장하고 관리하는 것 |
AR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현식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의 결합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3차원의 공간 안에 놓인 것 |
ARIA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 |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HTML 속성 |
ARP |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이란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
Array |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들이 같은 크기로 나열되어 순서를 갖고 있는 집합 |
ASP (Active Server Pag: 응용 서비스 제공자) |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만든 서버 측에서 동적으로 수행되는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스크립트 언어,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을 갖추어 놓고 인터넷을 통하여 기업이나 개인에게 일정 기간 임대해 주는 서비스 사업자 |
Atomicity | 원자성이란 트랜잭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료되어야 하며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하면 트랜잭션 전부가 취소되어야 함을 의미 |
availability | 가용성이란 사용이 요구될 때 한 소프트웨어가 지정된 시스템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능력, 총 운영 시간에 대한 시스템 가동 시간의 비율 |
Backdoor | 백도어란 프로그램 개발이나 유지 보수, 유사 시 문제 해결 같은 것을 위해 시스템 관리자나 개발자가 정상적인 절차를 우회하여 시스템에 출입할 수 있도록 임시로 만들어둔 비밀 출입문 |
background program | 후순위 프로그램이란 우선 순위가 낮거나, 수행 시간이 그리 중요하지 않아 순위 높은 프로그램이 우선 처리된 중간 중간의 여유 시간에 수행되는 프로그램 |
backlog | 백로그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모두 모아 우선순위를 부여해 놓은 목록 |
Backup | 백업이란 비상사태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의 정보가 소실되거나 손상될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한 시간 차를 두고 데이터를 복사하는 작업 |
bad code | 나쁜 코드란 프로그램 로직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코드, 또는 서로 얽혀 있는 스파게티 코드, 동일한 처리 로직이 중복되게 작성된 코드 등을 의미 |
Base register | 기준 레지스터란 기준 주소(하나의 루틴 또는 데이터의 블록에 대하여 기준이 되는 주소)를 축적하는 레지스터 보통 기준 주소에 상대 주소를 더하면 절대 주소를 얻을 수 있다 |
BCI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란 뇌파(두뇌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의 신호)를 해석한 코드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외부 신호를 이용하여 신경 세포를 자극하는 기술 |
BEM | Block Element Modifier(블록 요소 수정자)의 약자, , CSS 클래스를 명명하는 방법론 |
beta version | 베타 버전이란 소프트웨어를 정식으로 발표하기 전에 미처 발견하지 못한 오류를 찾아내기 위해, 회사가 특정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시험용 소프트웨어 |
Big data | 빅 데이터란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방대한 양의 정형, 반정형, 비정형 데이터 집합, 이러한 데이터 집합을 수집, 저장, 관리, 분석, 시각화하는 정보통신 기술 분야 |
Big-O | 알고리즘에서 시간의 복잡도를 표기를 위해 대문자 오(O)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표기 (예-O(n), O(2)) |
Bit Padding | 비트 채움이란 전송 및 저장단위의 표준 길이를 맞추기 위해서 비트를 덧붙이는 것을 말하며, 비트 스터핑의 한 형태로서 동일시 하기도 한다 |
black box testing | 블랙박스 테스트란 시스템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 또는 프로그램 내부 구조의 자세한 지식 없이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수행하는 시험, 시스템 요구사항의 명세에 맞는지를 파악하는 시험으로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블랙박스로 보고 입력과 출력을 확인함으로서 시스템의 오류를 발견하는 방식 |
Boundary register | 경계 레지스터란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의 영역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기 위해 사용되는 운영 체제가 주기억 장치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주소를 나타내는 레지스터 |
BPM |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usiness Process Management)란 기업 내외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가시화하고, 비즈니스의 수행과 관련된 사람과 시스템을 프로세스에 맞게 실행ㆍ통제하며, 전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변화 관리 및 시스템 구현 기법 |
BPR | 업무 재설계(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란 기업 경영 내용이나 경영 과정 전반을 분석하여 경영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재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기업 형태, 사업 내용, 조직, 사업 분야 등을 재구성하는 것 |
Broad data | 브로드 데이터란 거대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 빅 데이터와 달리 기업 마케팅에 보다 효율적인 다양한 정보로 전에 사용하지 않았거나 몰랐던 새로운 데이터,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데이터를 의미 |
Brute force attack | 무작위 대입 공격이란 암호문의 암호 키를 찾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를 무작위로 대입하여 암호를 푸는 공격 방법 |
BSC | 균형 성과 기록표(Balanced Score Card)란 매출액, 순익 등 과거의 결과물인 재무지표에만 의존해 왔던 기업성과 측정에 미래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표로서 고객(고객만족도, 신규고객창출), 내부프로세스(혁신, 운영), 학습(직원역량, 정보시스템능력) 등을 추가하여 균형있게 평가하는 무형의 자산 평가 모델 |
BUFOFL | 버퍼 오버플로(Buffer Overflow)란 메모리에 할당된 버퍼의 양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의 복귀 주소(return address)를 조작, 궁극적으로 해커가 원하는 코드를 실행하여 공격하는 방법 |
bug | 버그란 컴퓨터 작동을 방해하는 기계적, 전기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프로그램을 부호화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류(기능 결함) |
Build |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빌드는 소스 코드 파일을 컴퓨터나 휴대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standalone) 소프트웨어 가공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하거나 그에 대한 결과물 |
BYOD(Bring your own device) |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와 같은 개인 소유 모바일 기기를 업무에 사용하는 환경 |
Candidate key | 데이터베이스에서 후보키는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들의 부분 집합 |
Canvas | HTML5에서 제공하는, 스크립트를 통해 그래픽을 그리거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요소 |
CAPTCHA | 자동 계정 생성 방지 기술(Completely Automated Public Turing test to tell Computers and Humans Apart)이란 주로 웹사이트 회원 가입 절차에서 컴퓨터가 구별할 수 없는 찌그러진 문자나 단번에 인식하기 어려운 숫자 등을 문제로 내 사용자가 사람인지 컴퓨터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시도 응답 인증 방식(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mechanism) |
cardinality | 사상 수란 관계에 의해서 한 객체와 연관될 수 있는 다른 객체의 수 |
chm | Compiled HTML의 약어로 HTML로 구성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도움말 파일의 확장자 |
CKO | 지식 경영 최고 책임자(Chief Knowledge Officer)란 자사 상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되는 시장 정보, 고객의 반응, 전문 정보 등 전 사원이 알아야 할 사항을 신속하게 전달하고 공유하게 하는 기능을 총괄하는 기업내의 지식 활동을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 |
class | 클래스는 공통된 속성과 연산을 갖는 객체의 집합, 객체 내부의 데이터 구조와 그 조작을 정리하여 정의한 것 |
clean code | 클린 코드란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수정 및 추가할 수 있는 단순, 명료한 코드, 즉 잘 작성된 코드를 의미 |
Clearing house | 클리어링 하우스란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연결하여 통합 서비스를 지원할 때 서로 다른 인증 방식이나 과금 방식을 처리하고 정산하는 서비스 혹은 정산소 |
CLI | 명령어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란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예를 들면, 윈도즈 운용 체계에서 MS-DOS로 빠져나가면 도스 프롬프트가 나타나는데 이때 각종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것 |
Cluster | 클러스터란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 액세스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방법 |
Clustering | 클러스터링이란 두대 이상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운영하는 기술로 서버 이중화 및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여 서버의 고가용성(HA)를 제공함 |
cohesion | 응집도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이 그 고유의 기능을 잘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 응집도가 강할수록 품질이 높다 |
Comment | 주석은 사람만 알아볼 수 있으며, 컴파일 되지 않으므로 사람의 명확한 판독에 도움을 주기위한 설명을 입력한 부분 |
COMMIT | 커밋은 트랜잭션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어 트랜잭션의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명령어 |
Community of Practice | 지식 실행 공동체란 조직 내의 특정 지식 분야에 대해 동일한 관심을 가지는 구성원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를 통해 지식의 공유, 학습, 창출 활동을 수행하는 지식 동아리 |
compile | 컴파일이란 넓은 뜻으로는 원시 언어로 된 프로그램으로부터 그와 동등한 일을 하는 목적 언어로 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작업이고, 좁은 뜻으로는 포트란이나 파스칼과 같은 고수준 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어셈블리 언어나 기계어 등의 저수준 언어로 된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일 |
component | 컴포넌트란 독립적인 업무나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코드 기반으로 작성된 모듈 |
concrete class | 구체 클래스란 직접적으로 실체화를 통해 인스턴스를 가질 수 있는 클래스 |
Concurrency control | 병행제어란 다중 프로그램의 이점을 활용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트랜잭션을 병행수행 할 때,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것 |
Confidentiality | 기밀성이란 접근이 허가된 사람만 정보에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것 |
Connected car | 커넥티드 카란 통신 수단으로 무선랜(Wi-Fi), 엘티이(LTE) 이동 통신 등을 사용하는 통신망에 연결된 자동차 |
Consistency | 트랙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유지해야 함 |
Constant | 상수란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안 변하지 않는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변수와 대비됨 |
constraint | 제약이란 데이터 대상(data object)이나 데이터형(data type)에 제한이나 범위가 설정되어 있어서 값의 부분 집합만이 사용될 수 있는 상황 또는 조건 |
Context switching | 문맥 전환이란 다중 프로그램 작성의 환경에서 어떤 프로그램의 실현을 중단하고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할 때, 그 프로그램의 재개에 필요한 환경을 다시 설정하는 것 |
CORBA | 코바(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란 네트워크에서 분산 프로그램 객체를 생성, 배포, 관리하기 위한 규격 |
CORS | Cross-Origin Resource Sharing(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의 약자, 한 도메인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도메인에 있는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허용하는 메커니즘, 코어란 각종 연산 수행하는 CPU의 핵심 요소, 코어 개 갯수에 따라 싱글 코어, 듀얼코어, 트리플 코어 등으로 구분하며 갯수가 많을수록 속도가 빨라짐 |
coupling | 결합도는 프로그램에서 모듈간 상호 의존하는 정도 혹은 두 모듈 사이의 연관 관계를 의미, 결합도가 약할수록 품질이 높다 |
CPM | 기업 성과 관리(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란 변하는 경영 환경에 대응해 경영 계획-성과 분석-예측-전략 분석-시뮬레이션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연계하여 기업 경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예측 경영을 통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
Crack | 크랙이란 '깨다', '부수다'라는 의미로 불법적인 방법으로 소프트웨어에 적용된 암호화된 저작권 보호 기술을 해제하는데 사용되는 해킹 도구 |
Cracking | 크래킹이란 허가받지 않은 시스템에 강제로 침입하여 정신적인 피해나 물리적인 피해를 주는 것 |
Critical section | 임계영역이란 둘 이상의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해서는 안되는 자료 구조 또는 공유 자원을 접근하는 코드의 일부 |
CRM | 고객 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란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 |
Cross platform | 크로스 플랫폼이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등이 다른 환경의 운영 체제(OS)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 |
Crowd Sourcing | 크라우드 소싱이란 군중(crowd)과 외부 용역(outsourcing)의 합성어로, 인터넷을 통해 일반 대중이 기업 내부 인력을 대체하는 것을 의미 |
CRUD | 생성(Create), 읽기(Read), 갱신(Update), 삭제(Delete)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용어 |
CSS |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 HTML 문서의 스타일을 지정하는 언어 |
CUI |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Conversational User Interface)는 인공 지능,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생체 인식 등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PC, 스마트폰, 자동차, 스마트 가전 기기 등 기기에서 사용됨 |
Cursor | 커서란 SQL문의 실행 결과로 반환된 복수 개의 튜플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 |
Custom Elements | 개발자가 새로운 HTML 요소를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CVS | 공동 버전 시스템(Concurrent Version System)이란 공동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 수행자들에게각 각종 소스의 버전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
DAS | 직접 연결 저장장치(Direct Attached Storage)란 네트워크 경유 없이 전용 케이블로 서버나 컴퓨터에 직접 연결된 외장형 저장 장치로 서버 자체에 물리적으로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하는 것 |
dashboard | 대시보드란 웹에서 한 화면에 다양한 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
Data Mart | 데이터 마트란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들을 담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즉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갖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 항목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업의 경영 활동을 돕기 위한 시스템,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정부 기관 혹은 정부 전체의 상세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비해 데이터 마트는 전체적인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있는 일부 데이터를 가지고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함 |
Data mining | 데이터 마이닝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내어 데이터를 분석 |
Data warehouse | 데이터와 창고란 의미가 합성된 용어,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여러 데이터베이스에 분산되어 있는 자료를 표준화하고 통합하여 놓은 데이터베이스 |
Database Replication | 데이터베이스 이중화란 시스템 오류 등으로 인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중단이나 물리적 손상이 발생 시 이를 복구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복제하여 관리하는 것 |
Database Tuning | 데이터베이스 튜닝이란 DB를 조정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
Database(DB) |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조직의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 |
DBMS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란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해 주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
DC | 더블린 코어(Dublin Core)란 네트워크 환경에서 각종 전자정보를 기술하는 핵심적인 데이터 요소, ISO 15836으로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요소 집합 |
DCL |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언어 |
DDL | 데이터 정의어(Data Definition Language)란 SCHEMA, DOMAIN, TABLE, VIEW, INDEX를 정의, 변경, 삭제시 사용하는 언어 |
DDS |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Decision Support System)이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필요한 지식을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업체를 비롯한 조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정보 시스템 |
Deadlock | 교착 상태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 상대 프로세서가 차지하고 있는 자원을 기다리는 무한 대기 상태 |
Debugging | 디버깅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정확성이나 논리적인 오류(버그)를 찾기 위해 소스 코드를 검사하는 작업 |
Decryption | 복호화란 암호화된 정보를 원래의 평문으로 바꾸는 과정 |
Deepfake | 딥페이크란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성어로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해 제작된 가짜 동영상 또는 제작 프로세스 자체, 적대관계생성신경망(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이라는 기계학습(ML)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사진이나 영상을 원본에 겹쳐서 만들어 냄 |
dependency | 종속성이며 임의의 요구사항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서로 의존적인 관계 |
DES | 데이터 암호화 표준(Data Encryption Standard)이란 미국 정부의 상무부 표준국(NBS:현재는 NIST로 개편됨)이 1977년에 IBM사의 제안을 바탕으로 제정한 데이터 암호화 표준 규격으로 비밀 키 방식의 일종으로 64비트의 키를 사용하여 64비트의 평문을 전자(轉字)와 환자(換字)를 조합하여 암호화하는 방식 |
design pattern | 디자인 패턴은 각 모듈의 역할이나 모듈들 간의 인터페이스 같은 코드 작성 및 설계시 참조할 수 있는 전형적인 해결 방식 또는 예제 |
DFD | 데이터 흐름도(Data Flow Diagram)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기 위하여 시스템의 분석 과정이나 설계 과정에서 사용되는 그래픽을 이용한 도표 |
Digital Prosumer | 디지털 프로슈머란 인터넷 커뮤니티에 참여해 콘텐츠를 즐기고 정보와 자료를 얻는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의견을 적극 개진해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람 |
digital signature | 전자 서명이란 전자 문서의 모든 수신자가 서명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출처와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계산되어 데이터에 첨부되는 값 |
Dispatch | 디스패치란 준비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dll | Dynamic Linking Library의 약어로 장치의 드라이버 등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호출해서 사용하는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파일의 확장자 |
dmg | 배포용 파일 형식으로 macOS용 패키지 형식 |
DML |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질의 언어(QL)로 저장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할 때에 사용하는 언어, 정의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 데이터를 검색, 삽입, 갱신, 삭제하는 데 사용 |
DNS (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네임 서버(Domain Name Server)란 문자로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전환시켜 주는 시스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시스템 |
DOM |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 웹 페이지의 구조를 표현하는 모델 |
Domain name | 도메인 네임이란 숫자로된 IP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 |
Doxing | 독싱이란 ‘dropping docs‘(문서를 떨어뜨리다)에서 파생된 신조어로 특정인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사진 등 사적인 정보를 뒷조사하여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는 것 |
Doxware | 독스웨어란 해킹한 개인정보를 온라인에 공개하는 것을 의미하는 ‘독싱(doxing)’과 이를 이용하여 금전적 이득을 취하는 ‘랜섬웨어(ransomware)’를 합친 용어로 개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파일이나 정보를 미끼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 |
DRM |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란 디지털 미디어의 불법 또는 비인가된 사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저작권 소유자나 판권 소유자가 이용하는 정보 보호 기술의 일종인 접근 제어 기술 |
DSMS | 데이터 스트림 관리시스템(Data Stream Management System)이란 무선 센서 네트워크나 인터넷 같은 통신사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대량의 스트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
DTD | Document Type Definition의 약자, 브라우저에 어떤 문서형 정의을 적용할 것인가를 선언한다. |
Durability | 영속성이란 성공적을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시스템이 고장나더라도 영구적으로 반영되어 있어야 함 |
EA | Enterprise Architecture의 약어로 기업의 목표와 요구 사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정보 기술(IT) 인프라 각 부분의 구성과 구현 기술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작업 |
EAI | 기업 애플리케이션 통합(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은 송수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송수신 처리 및 진행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하는 시스템, 업무적으로 50% 이상의 중요도를 가지면서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일컫는 개념 |
ear | 배포용 파일 형식으로 jar와 war를 묶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패키지 형식 |
ECMAScript | 표준화된 스크립팅 언어 |
EIS | 경영진 정보 시스템(Executive Information System)이란 기업의 상급 경영 관리직의 전략 구상을 지원할 목적으로 구축된 경영 정보 시스템 |
EJB | Enterprise JavaBeans의 약어로 프로그램 컴포넌트를 분배하는 자바빈(JavaBeans) 기술로 되어 있고, 기업용 서버의 프로그램 모듈을 자바를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성하는 아키텍처로 대규모 분산 객체 환경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움 |
eMBB |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enhanced Mobile BroadBand)란 5세대 이동 통신에서 사용자가 체감하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존 모바일 브로드밴드보다 빠른 서비스, 초광대역 이동 통신 |
encapsulation | 캡슐화는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 세부 내용이 은폐되어(정보은닉) 외부이 접근이 제한적임, 세부 내용이 은폐되어(정보은닉) 외부이 접근이 제한적임 |
Encoding | 문자들의 집합을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통신에 사용할 목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 |
Encryption | 암호화란 평문의 정보 보호를 위해 암호문으로 바꾸는 과정 |
ENG | 이엔지(Electronic News Gathering)란 녹화 기능이 탑재된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으로 녹화 후 즉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뉴스 취재에서 기동성, 동시성, 경제성 등의 이점이 있음 |
Entity | 엔티티(개체)란 현실 세계에서 사람, 자동차와 같이 우리 주위에서 사용되는 물질적이거나 개념적인 것, 시스템,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 그러한 기능과 연동되는 다른 시스템 등을 의미 |
ERM | 전사적 리스크 관리(Enterprise Risk Management)란 회사의 목표 달성을 방해할 수 있는 리스크를 파악, 평가 및 관리하는 총체적인 프로세스 |
ERP | 기업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란 인력, 생산재, 물류, 회계등 기업의 모든 자원을 전체적으로 관리하여 최적화된 기업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산 시스템 |
Escrow Service | 에스크로 서비스란 전자 상거래 등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중개 서비스 회사가 개입해 상품 인도와 대금 지불을 대행해 주는 서비스 |
ETL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를 사용하여 추출(Extract), 변환(Trasform), 적재(Load)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을 의미 |
Event | 이벤트는 시스템에 어떤일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며, 트리거에서의 이벤트는 데이터의 입력, 갱신, 삭제와 같은 데이터 조작이 발생함을 의미 |
exception | 예외란 컴퓨터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이 동작 도중 예기치 않았던 이상 상태가 발생하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작업이 영향을 받는 것 |
exception handling | 예외 처리란 예외(exception)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프로그래머가 작성해 놓은 처리 루틴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스케줄링이란 중앙 처리 장치(CPU)나 입출력(I/O) 장치처럼 공유가 불가능한 자원을 각 작업들이 어떤 순서로 돌아가면서 이용하게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
exe | 실행 파일(Executable File)이란 컴퓨터의 프로그램 로더에 의해 로드된 후 번역 작업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실행될 수 있는 파일, 마이크로소프트 디스크 운영 체계(MS-DOS)나 윈도즈의 EXE 확장자명으로 된 파일들이 대표적인 실행 파일임 |
Flexbox | 웹 레이아웃을 위한 CSS 레이아웃 모델 |
Force Touch | 포스 터치란 터치스크린의 터치 위치뿐만 아니라 터치의 강도를 감지하는 누름힘(force) 센서를 더하여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의 강도를 인식하여 다르게 동작하는 촉각 센서 기술 |
foreground program | 최우선도 프로그램이란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그램 또는 태스크 |
Foreign key |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을 의미 |
Fragment | 분할이란 테이블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산 시키는 것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이란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 사이에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
GAN | 생성적 적대(대립)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이란 생성모델과 판별모델이 경쟁하면서 실제와 가까운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을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기계학습(ML: Machine Learning) 방식의 하나, 특정 분야의 실제 예제들을 제시하면 제시한 예제들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공통점을 컴퓨터 프로그램이 학습하여 매우 정교한 위조품을 쉽고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다 |
Garbage collection | 가비지 컬렉션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으면서 가용 공간 리스트에 반환되지 않는 메모리 공간인 가비지(쓰레기)를 강제로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 |
Git | 깃이란 지역(로컬)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로 관리되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
GNSS | 세계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란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항법 시스템으로 위성에서 발신된 전파를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위성과 수신기 간의 거리를 구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 |
Gradle | 빌드(build) 도구 중 하나며 Ant와 Maven을 보완하여 개발된 빌드 도구 이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공식 빌드 도구로 채택된 소프트웨어임 |
Grid |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기술 |
Groovy | 그루비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개발된 자바(Java) 기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Groupware | 그룹웨어란 집단으로서의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라는 의미로 여러 사람이 함께 쓸 수 있는 소프트웨어 |
GUI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란 컴퓨터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키보드,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아이콘을 지정하거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명령을 선택하고, 프로그램을 기동하며, 파일 목록을 열람하고 기타 선택을 하면서 작업을 진행하는 상호 작용 방식 |
HA |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이란 오랜 시간 지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
heap | 메모리에서 힙 영역이란 필요에 의해 동적으로 프로그램들에 할당되었다가 회수되는 작용이 되풀이되는 영역 |
Hoax | 혹스란 존재하지 않는 위협에 대한 과도한 경고로 사람의 불안한 심리를 자극하는 가짜 메시지 |
HTML | Hypertext Markup Language(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의 약자,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 |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 약자, 웹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 |
HTTPS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의 약자, 웹 클라이언트인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안전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HTTP의 전송 계층에 암호 통신 규약을 적용한 보안이 강화된 HTTP 프로토콜 |
IaaS | 인프라형 서비스(Infrastructure as a Service)란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의 네트워크, 메모리, CPU등의 하드웨어를 가상화를 통하여 제공해 주는 서비스,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하드웨어의 성능을 조절하고 서비스를 이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함 |
ICMP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이란 TCP/IP 기반의 인터넷 통신 서비스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P)과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connectionless transmission)용의 프로토콜 |
IDE | 통합 개발 환경(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이란 기본적으로 코드 편집기, 컴파일러, 프로그램 수정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설치기 등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패키지의 프로그래밍 환경 |
Identifier | 데이터베이스에서 식별자란 하나의 개체 내에서 각각의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로, 모든 개체는 한 개 이상의 식별자를 반드시 가져야 함 |
IndexedDB | 인덱스된 데이터베이스, 브라우저 내장형 데이터베이스 |
ini | Windows 기반 컴퓨터의 기본 구성 값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사용되는 설정 초기화 파일의 확장자 |
Inline view | 인라인 뷰란 FROM절 안에 사용되는 서브 쿼리 |
inspection | 인스펙션(검사)이란 워크스루를 발전시킨 형태로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산출된 결과물의 품질을 평가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등을 제시하는 것 |
Integrity | 데이터베이스에서 무결성이란 저장된 데이터 값과 그것이 표현하는 현실 세계의 실제 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 |
Interface | 인터페이스란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2개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2개의 시스템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접속되는 경계(boundary), 또는 이 경계에서 상호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조건, 규약 등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말 |
IP |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이란 OSI 기본 참조 모델을 기준으로 하면 제3계층(네트워크 계층)에 해당되는 프로토콜로 IP 주소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간 패킷의 전송, 즉 경로 제어를 위한 규약으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이 프로토콜의 특징 |
ipa | 배포용 파일 형식으로 iOS용 앱 패키지 형식 |
IPC | 프로세스 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이란 모듈 간 통신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집합으로, 복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이뤄지는 프로세스 간의 통신 기법 |
IPv6 | IP 버전 6(Internet protocol version 6)란 Pv4의 주소공간을 4배 확장한 128 비트 인터넷 주소 체계 |
Isolation | 독립성이란 수행중인 트랜잭션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다른 트랜잭션이 끼어들 수 없음 |
ISP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란 일반 사용자나 기업체, 기관, 단체 등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사업자 |
ISP | 정보화 전략(Information Strategy Planning)이란 경영전략에서부터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프로세스, IT시스템간의 빈틈없고 경쟁력 있는 정보화 추진전략, 향후에 기업이 계획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 개선 모델들의 역할을 정의하는 작업 |
ITIL | 정보기술 인프라 라이브러리(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Library)란 영국 정부의 지적 소유물로 전 세계에서 효과적인 IT 서비스 관리를 위한 일종의 교본으로 사용되는 정보통신기술(IT) 서비스를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체계 |
ITSM | 정보기술 서비스 관리(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란 정보 시스템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 즉 기업 내부의 기존 정보 통신(IT) 관리 역할을 서비스 관점으로 바꿔 고객 중심의 IT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법 |
jar | Java ARchive의 약어로 java 응용 소프트웨어나 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한 패키지 형식 |
JavaScript | 자바 스크립트란 웹 페이지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용 스크립트 언어,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언어 |
JavaScript |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언어 |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 자바에서 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 자바와 DB를 연결해 주는 인터페이스 |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포맷,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 |
JSP | Java Server Page의 약어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이 가능한 Java로 만들어진 서버용 스크립트 언어 |
Kernel | 커널이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인 자원(메모리, 프로세서 등)을 관리하며, 시스템이 원활히 돌아갈 수 있도록 제어함 |
KMS | 지식 관리 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이란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 기업이나 조직의 지식을 이용하기 쉽게 축적하여 해당 지식을 기업의 전략이나 정책 수립, 의사 결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
LFU | 최소 사용 빈도(Least Frequently Used)란 각 페이지의 사용이 얼마나 집중적으로 되었는가에 관심을 갖고, 가장 적게 사용되거나 집중적이 아닌 페이지로 대체하는 방법 |
library | 라이브러리란 개발 편의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코드, API, 클래스, 값, 자료형 등의 다양한 자원들을 모아놓은 것 |
LINUX | 리눅스란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에 의해 개발된 유닉스와 유사한 운용체제 |
Load balancer | 로드 밸런서란 특정 서버에 집중되는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여러 서버로 부하를 분산시키는 네트워크 서비스 |
Load testing | 부하 시험이란 애플리케이션에 일정 시간 동안 부하를 가하면서 반응을 측정하는 테스트 |
LOB | Large Object의 약어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 |
local variable | 지역 변수란 프로그램 내 변수가 선언된 영역만 접근 가능한 영역으로 취하는 변수, 즉 그 변수를 선언한 블록에서만 접근이 가능한 변수이며 일반적으로 지역 변수가 선언된 블록이 활성화된 시간만이 그 변수의 생존 기간이 됨 |
Locality | 국소성/구역성/지역성이란 프로그램이 수행 도중 기억 장치를 참조하는 패턴이 기억 장치의 전 부분에 걸쳐 고루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에는 일정한 한두 곳의 기억 장치 부분에 집중적으로 접근하는 성질 |
LRU | 최저 사용 빈도(Least Recently Used system)란 기억 장치에서 페이지가 호출되면 모든 페이지의 사용 횟수 레지스터 값을 탐색하여 가장 적은 값을 가진 페이지와 교체하는 방식 |
M2M |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이란 기계, 센서,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들이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서로 정보를 교환하게 함으로써 개별 장치들의 기능이나 성능을 개선시켜 주고 개별 장치들이 제공하지 못했던 새로운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함 |
MAC Address | 매체 접근 제어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란 랜카드 제작사에서 대부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어댑터(NIC)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자 |
MacOS | 맥 OS란 애플(Apple)사의 매킨토시 컴퓨터의 운영 체계(OS), 맥 OS는 당초 매킨토시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호칭이었으나 현재는 매킨토시용 OS의 이름으로 정식 채용, 상표가 됨 |
Malware | 악성 소프트웨어란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 가능한 악성 코드(Malicious Code) 또는 악성 프로그램(Malicious Program) |
manual | 매뉴얼은 프로그램들의 사용과 운영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문서 |
matadata |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즉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와 함께 따라가는 정보. |
Maven | 빌드(build) 도구 중 하나로 Ant의 대안으로 개발되었으며, 규칙이나 표준이 존재하여 예외 사항만 기록하면 되며, 컴파일과 빌드를 동시에 수행 할 수 있음 |
MC-Finder/Malicious Code-Finder | 악성코드 은닉 사이트 탐지 프로그램 |
MDM | 기준 정보 관리(Master Data Management)란 기업 비즈니스의 핵심 데이터인 기준 정보(마스터 데이터)를 생성하고 일관성 있게 유지하며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흐름에 맞춰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술 및 솔루션과 조직 |
MDR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 Data Registry)란 메타데이터의 등록과 인증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유지, 관리하며 메타데이터의 명세를 공유하는 레지스트리 |
Media Queries | 화면의 크기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하는 기술 |
memory leak | 메모리 누수란 응용 프로그램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반환하지 않고 계속 점유하고 있는 현상, 성능 저하나 메모리 고갈 등의 장애 발생 가능 |
meta data |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즉 데이터에 대한 속성 정보 등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
Microformats | 웹 상의 데이터를 의미 있게 표현하는 방법 |
middleware | 미들웨어는 주로 상하 관계나 동종 관계로 구분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거나 프레임워크 역할을 하는 일련의 중간 계층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 체계의 중간 계층에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시스템 하부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운영 체계,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
MIME-TYPE |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tion Type의 약자,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문서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해당 Data 를 |
mMTC | 대규모 사물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이란 IMT-2020(5G) 이동통신에서 비교적 저용량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주고받는 다수의 사물 통신 기기가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는 사물 통신을 일컫는 명칭 |
MNG | 엠엔지(Mobile News Gathering)란 방송용 카메라에 엘티이(LTE), 와이브로(WiBro), 와이파이(Wi-Fi) 등에 접속할 수 있는 장비가 부착되어 촬영한 영상을 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방식 |
modified bit/dirty bit | 수정 비트란 가상 기억 장치의 운영에서 페이지 교체 기법에 쓰이는 비트, 어떤 페이지가 기억 장치에 들어와 그 내용이 변하지 않았을 때에는 0으로 보존되고 내용이 변하면 1로 되어 이 페이지를 다시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할 때에 이 비트가 0인 페이지는 다시 쓸 필요가 없다 |
Modularity | 모듈화란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수정, 재사용, 유지 관리등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의 기능들을 모듈 단위로 나누는 것 |
module | 모듈은 전체 프로그램 기능 중에서 특정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소스 코드, 주 프로그램은 논리적으로 몇 개의 모듈로 나뉠 수 있다 |
MOM | 메시지 기반 미들웨어(Message Oriented Middleware)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비동기 방식으로 지원하는 메시지 기반 미들웨어, 비동기(asyncronous)적이라는 것은 요청을 보내고 나서 그 응답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요청한 처리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가 나중에 확인하는 방식 |
MOTP | 모바일 일회용 비밀번호(Moblie One Time Password)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같은 이동 단말에서 사용하는 1회용 비밀 번호 |
msi | 배포용 파일 형식으로 Windows용 패키지 형식 |
Multicast | 멀티캐스트란 한 명 이상의 송신자들이 특정한 한 명 이상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화상 회의 등에 사용 |
Multitasking | 멀티태스킹이란 하나의 컴퓨터에서 복수의 작업(task)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하는 운영 체계(OS)의 기능을 갖춘 조작 형태 |
Mutual exclusion, mutex | 동시 프로그래밍에서 공유가 불가능한 자원의 동시 사용을 피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병렬 프로세스가 공통의 변수 또는 자원에 접근할 때 임의의 시점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하도록 제어하는 것 |
MUX | 다중화(Multiplexing)란 한 개의 통신 회선을 여러 가입자들이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 |
MyBatis | 마이바티스란 JDBC 코드를 단순화 하여 사용할 수 있는 SQL Mapping 기반 오픈 소스 접속 프레임워크 |
My-PIN | 마이핀(My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이란 인터넷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본인확인 식별수단으로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2014년 8월 7일 개인정보보호법의 시행에 따라 도입된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13자리 무작위 번호, 연 5회까지 변경이 가능하며 유효 기간은 3년 |
namespace | 서로 다른 XML 문서와 서로 인식할 수 있도록 태그로 나타나는 개념상의 공간. |
NAS |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etwork-Attached Storage)란 개인용 컴퓨터(PC)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공유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가 네트워크로 구성된 대용량 저장 장치 |
Network Neutrality | 망 중립성이란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
Network Slicing |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란 5G 네트워크의 새로운 기술로 하나의 물리적인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infrastructure)를 서비스 형태에 따라 다수의 독립적인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각의 슬라이스를 통해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술 |
NIC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란 네트워크 카드, 이더넷 카드, LAN 어댑터, LAN 카드라고도 하며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
Node | 노드(정점)는 자료를 저장하는 데이터 부분과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인 링크 부분으로 구성된 기억 공간 |
Non-Preemptive scheduling | 비선점 스케줄링이란 이미 할당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없는 스케줄링 기법 |
NR | 엔알(New Radio)이란 5세대(5G) 이동 통신에서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접속(Radio Access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 |
NULL value | 널값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계의 속성이나 레코드 항목의 값이 실제로 존재할 수 없거나,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거나, 존재할 수는 있으나 그 값을 알 수 없거나, 값이 존재하다가 안 하다가 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설정되는 값 |
object | 객체는 하나 이상의 클래스나 비슷한 객체의 특성을 일반화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인스턴스,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묶어서 캡슐화한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 응용 프로그램에서 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조회, 삽입, 수정, 삭제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과 DB를 연결해 주는 표준 인터페이스 |
OGSA | 오픈 그리드 서비스 아키텍처(Open Grid Services Architecture)란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를 위한 그리드 컴퓨팅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 |
OLAP | 올랩(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이란 조직 경영에서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정보 시스템으로 이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분석해서 문제점이나 해결책을 찾는 분석형 애플리케이션 개념, 대규모 연산이 필요한 질의를 고속으로 지원한다 |
OLE | 개체 연결 기능(Object Linking Embedding)이란 대상이 되는 파일 및 프로그램들을 연결해 끼워 넣는 방법을 의미, 예를 들면, MS 워드를 사용하다가 도표를 끼워 넣거나 특별한 템플릿 기능들을 이용한 문서들을 끼워 넣은 경우 |
OLTP | 온라인 트랜잭션 처리(Online Transaction Processing)란 네트워크상의 여러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단위작업을 처리하는 것으로 주로 신용카드 조회업무나 자동 현금 지급 등 금융 정보화 관련 부문에서 많이 이용 |
Ontology | 온톨로지란 존재하는 사물과 사물 간의 관계 및 여러 개념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것, 어떤 일정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의 개념, 특성, 연관 관계 등을 표현하여 단어에 대한 일반적 지식이 명시적으로 드러나고, 단어 간 관계 정의를 통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음 |
OPE | 크기 보존 암호화(Order Preserving Encryption)란 데이터베이스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들이 원본 숫자 데이터의 크기와 동일한 순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해 주는 암호화 기술 |
open source | 오픈 소스(공개 소스)란 일정한 이용 조건을 지키면 누구나 개량하고, 재배포할 수 있도록 무상으로 공개되는 소스 코드(source code) |
Operating system(OS) |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OPR | 최적 페이지 교체(Optimal Page Replacement)란 페이지 교체 방법에서 최적의 실행을 얻기 위하여 앞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대치시키는 것으로, 최소의 페이지 부재율을 갖는 알고리듬 |
Optimizer | 옵티마이저란 SQL문을 수항할 가장 효율적이고 빠른 방법을 선택해주는 DBMS의 핵심 엔진을 의미 |
ORB | 객체 요청 브로커(Object Request Broker)란 분산 객체 환경에서, 객체 간의 통신을 매개하는 기능, 객체 지향 미들웨어로 코바(CORBA) 표준 스펙을 구현한 미들웨어 |
ORM | Object-Relational Mapping의 약어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술 (예-JPA, Hibernate, Django ORM) |
OSI 7 Layers | OSI 7 계층 모델(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model)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1977년에 통신의 접속에서부터 완료하기까지의 과정을 7단계로 구분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 |
Overflow |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한 공간이 모두 자료들로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자료의 추가 하려 할때 넘침이 발생함 |
overlay | 오버레이란 하나의 프로그램을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보조 기억 장치에 수용하고, 처리의 흐름에 필요한 영역을 주기억 장치에 순차적으로 불러내어 실행하는 방식 |
PaaS | 서비스형 플랫폼(Platform as a Service)이란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Google App Engine 서비스가 대표적 |
Page default | 페이지 부재란 접근하고자 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 부분이 주기억 장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디스크에서 다시 읽어와야 하는데 디스크에도 그 데이터가 없을 때 발생하는 오류 |
Page table | 페이지 테이블이란 가상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가상기억 장치의 페이지와 실제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주기억 장치의 페이지 프레임을 하나의 순서쌍으로 표현하여 저장한 도표 |
Paging | 페이징 기법은 가상 기억 장치 구현 방법의 한 가지로, 기억 장치를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 단위로 나누고 페이지 단위로 주소 변환 및 대체를 하는 방식 |
pair programming | 짝 프로그래밍은 다른 사람과 함께 프로그래밍을 수행함으로 개발에 대한 책임을 공동으로 나눠 갖는 환경 조성 |
Pareto principle | 파레토 원칙이란 80%의 결과가 20%의 원인에 따라 결정되는 현상, 애플리케이션의 20%에 해당하는 코드에서 전체 80%의 결함이 발견된다고 적용하기도 함 |
patch | 패치란 프로그래밍에서 이미 제작하여 배포된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이나 성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의 일부 파일을 변경하는 것 |
PCB | 프로세스 제어 블록(Process Control Block)이란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 |
PDM | 제품 데이터 관리(Product Data Management)란 제품의 기획에서 설계/제조/인증 및 마케팅에 이르는 제품 개발의 각 과정의 모든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하는 것 |
PDU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란 OSI 기본 참조 모델에서의 정보 처리 단위의 하나로, 동일 계층 간에 교환되는 정보의 단위 |
Pesticide Paradox | 살충제 패러독스란 살충제를 지속적으로 뿌리면 벌레가 내성이 생겨 죽지 않듯이 동일한 테스트 케이스를 사용하여 반복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면 새로운 버그를 찾지 못한다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원리 |
Pharming | 파밍이란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이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유도하여 개인 정보를 훔치는 새로운 수법 |
Pipeline | 파이프라인이란 둘 이상의 명령을 함께 묶어 처리한 결과를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전환하는 기능 |
PLM | 제품 수명 주기 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란 제품 수명 전 기간에 걸쳐 설계와 해석, 관리를 위한 솔루션, 제품의 기획 단계에서 개념 설계, 상세 설계, 생산, 서비스에 이르는 전체 수명 주기에 걸친 제품 정보를 관리하고, 이 정보를 고객 및 협력사에 협업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제품 중심의 연구 개발 지원 시스템 |
PnP | 자동 감지 기능(Plug And Play)이란 컴퓨터 운영 체계에서 시스템을 설치하면 별도의 다른 설정 없이 자동으로 기동하는 것 |
Pointer | 포인터는 현재의 위치에서 다음 노드의 위치를 알려주는 요소 |
pointer | 포인터란 변수의 주소를 말하며 C언어에서는 주소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 |
Pointing Device | 컴퓨터 조작을 위해 표시 화면에 보이는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쓰는 입력장치 |
polymorphism | 다형성은 동일한 메시지를 여러 사람에게 보냈을 때 받는 자의 객체에 따라 각각 적절한 절차가 이루어지는 것 |
POS | 판매 시점 관리(Point of Sale)란 상점의 전자식 금전 등록기, 정찰 판독 장치 등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상품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매상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상품명이나 가격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컴퓨터로 관리하는 것으로 포스(POS)라고도 함 |
Precompile | 프리컴파일이란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컴퍼일 전에 수행하는 작업으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불럴오거나 코드에 삽입된 SQL문을 DB와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 |
Preemptive scheduling | 선점 스케줄링이란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하고 있을 때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있는 스케줄링 기법 |
Prepaging | 프리페이징이란 회전 지연을 줄이기 위해 페이지의 요구 상태를 미리 예측해서 필요할 것 같은 모든 페이지를 한꺼번에 페이지 프레임에 적재하는 기법 |
preprocessing | 전처리란 원자료(raw data)를 데이터 분석 목적과 방법에 맞는 형태로 처리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정보를 분리 제거하고 가공하기 위한 예비적인 조작 |
Primary key |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본키는 개체 인스턴스들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속성을 의미 |
Private Key Encryption | 개인키(비밀키) 암호 방식이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함 |
Procedure | 프로시저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트랜잭션 언어로 호출을 통해 미리 저장해 놓은 SQL 작업을 수행함 |
Process |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 |
Progressive Enhancement | |
Protocol | 프로토콜이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놓은 통신 규약 |
Public Key Encryption | 공개키 암호 방식이란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복호화 함 |
PWA | Progressive Web Apps(점진적 웹 앱)의 약자, 네이티브 앱처럼 동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
PWA () | |
QKD | 양자 암호 키 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란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 키를 분배·관리하는 기술로 보안이 필요한 두 시스템에 양자 암호 키 분배(QKD) 시스템을 설치ㆍ운용함으로써, 두 시스템은 암호 알고리즘 동작에 필요한 비밀 키를 안전하게 공유 가능 |
QoS |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이란 통신 서비스에서 처리 능력, 전송 지연, 정확성 및 신뢰성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서비스의 품질 척도 |
Queue | 큐는 리스트의 한쪽에서는 삽입, 다른 한쪽에서는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자료구조,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 |
Race condition | 레이스컨디션이란 두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공용 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 |
Ransomware | 랜섬웨어란 Ransom(몸값)과 Ware(제품)의 합성어로, 미국에서 문서자료를 볼모로 돈을 요구한 사건을 계기로 등장한 용어, 사용자 PC나 문서파일에 강제로 암호를 걸어두고 해커가 지정한 계좌번호로 돈을 보내야 암호를 풀어주는 금품갈취형 악성 프로그램 |
RDB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란 키(key)와 값(value)을 표(table) 형태로 구성한 데이터베이스 |
Recursive function | 재귀 함수란 자기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순환 프로그램 |
REDO | 트랜잭션 내용을 다시 실행 |
reference bit | 참조 비트란 주기억 장치의 페이지 단위로 설정되어 있는 제어 비트, 주기억 장치의 참조가 행해진 경우는 하드웨어에 의해 ‘1’로 설정된다 |
regression test | 회귀 테스트란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이 오류 제거와 수정에 의해 새로이 유입된 오류가 없는지를 확인하는 일종의 반복 시험 |
Reinforcement learning | 강화형 기계 학습이란 기계 학습 중 컴퓨터가 주어진 상태(state)에 대해 최적의 행동(action)을 선택하는 학습 방법으로 지도형/비지도형 기계 학습에 이용되는 훈련 데이터 대신, 주어진 상태에 맞춘 행동의 결과에 대한 보상(reward)을 주고, 컴퓨터는 보상을 이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킴 |
Relation | 데이터베이스에서 릴레이션은 데이터를 표(table) 형태로 표현한 것 |
Relationship | 관계란 개체 간의 관계 또는 속성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 |
release | 릴리즈는 몇 개의 요구사항이 적용되어 부분적으로 기능이 완료된 제품을 제공하는 것 |
release note | 릴리즈 노트란 개발 과정에서 정리된 릴리즈 정보를 소프트웨어의 최종 사용자인 고객과 공유하기 위한 문서 |
Responsive Web | 반응형 웹 디자인, 다양한 장치와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웹 디자인 방법 |
reuse | 재사용은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부분을 재구성하여 새로운 시스템이나 기능에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최적화 시키는 작업 |
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약어로 전파 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물에 부착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
ROLLBACK | 롤백은 하나의 트랜잭션 처리가 비정상 종료시 트랜잭션이 행한 모든 변경 작업을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명령어 |
RPC | 원격 절차 호출(Remote Procedure Call)이란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 어떤 컴퓨터의 프로그램에서 다른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절차를 직접 불러내는 것, 이 기능으로 두 머신의 프로그램 사이에서 직접 통신이 가능하며, 통신망을 통해 실행 결과의 값을 주고받는다, 응용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원격 프로시저를 마치 로컬 프로시저처럼 호출하는 방식의 미들웨어 |
RPO | 목표 복구 시점(Recovery Point Objective)이란 조직에서 발생한 여러 가지 재난 상황으로 IT 시스템이 마비되었을 때 각 업무에 필요한 데이터를 여러 백업 수단을 활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기준점 |
RSA | 미국 MIT 공과 대학의 Ronald Rivest, Adi Shamir, Leconard Adleman 등 3인의 성의 머리글자이며, 이들 3인이 공동 개발한 공개키 암호화 방식 |
RTO | 목표 복구 시간(Recovery Time Objective)이란 비상사태 또는 업무 중단 시점부터 업무를 복구하기 위한 목표 시간 |
SaaS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상에서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 업체가 하나의 플랫폼을 이용해 다수의 고객에게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용한 만큼 돈을 지불하는 개념 |
SAN |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Storage Area Network)란 컴퓨터 간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LAN)과는 달리 하드디스크 등의 외부 저장 장치(스토리지)끼리 고속으로 연결된 통신망 |
SAP | 서비스 접근점(Service Access Point)이란 개방형 시스템 간 상호 접속(OSI)의 인접하는 계층 간의 제어 동작에서 상위층이 하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하위층에 접근하는 점 |
SAVEPOINT(=CHECKPOINT) | 트랜잭션 내에 롤백할 위치인 저장점을 지정하는 명령어 |
SBAS | 위성 기반 보정 시스템(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이란 GNSS의 위치 오차를 보정한 정보를 위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광역(wide-area)의 위성 항법 보정 시스템 |
Scanning | 스캐닝이란 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행위인데, 해킹의 사전 단계로 악용됨 |
Schema | 스키마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구조에 대해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개념 |
Schema.org | |
SCM | 공급 사슬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란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시점에 필요한 수량만큼 공급함으로써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관리 기법 |
Script Language | 스크립트 언어란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지 않고 내장된 인터프리터로 소스 코드를 한줄한줄 읽어 바로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언어 |
SDLC |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바탕이 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정의하고 운용, 유지보수 등의 전 과정을 각 단계별로 나눈 것 |
SDN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Defined Networking)란 네트워크를 제어부와 데이터 전달부로 분리하여 네트워크 관리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 라우터나 스위치 등 하드웨어에 의존하는 네트워크 체계에서 속도, 안정성, 에너지 효율, 보안 등을 소프트웨어로 제어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 |
Secure coding | 시큐어 코딩이란 소프트웨어의 구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안 요소들을 고려하며 코딩하는 것을 의미 |
Segmentation | 세그멘테이션 기법은 가상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 후 주기억장치에 적재시켜 실행시키는 기법 |
Semantic Web | 시맨틱 웹이란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
semantics | 의미를 뜻하며 프로그램에서는 프로그램을 어떤 기계어로 번역해야 하는지를 정하는 규칙으로서 기호로 그 의미를 규정하고 있다, 구문(syntax)과 대비되는 말 |
semaphore | 세마포어란 철도의 까치발 신호기 또는 해군의 수기 신호라는 뜻으로, 복수의 작업을 동시에 병행하여 수행하는 운영 체제(또는 프로그래밍)에서 공유 자원에 대한 접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신호, 공유자원을 한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세마포어를 세워서 다른 프로세스를 대기시키고 사용이 끝나면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사용 |
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검색 엔진 최적화)의 약자 |
Service Workers |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처리를 담당하는 스크립트 |
Session | 세션이란 사용자 또는 프로세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 |
Session hijacking | 세션 하이재킹이란 다른 사람의 세션 상태를 훔치거나 도용하여 액세스하는 해킹 기법 |
Shadow DOM | DOM 요소의 은닉화 기술 |
shared memory | 공유 메모리란 일반 운영체계 서비스가 사용하는 읽기/쓰기 방식에 의한 것보다 프로그램 프로세스들이 데이터를 더 빠르게 교환할 수 있는 방법, 공유 메모리의 지정된 공간을 사용하면, 시스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데이터가 양쪽 프로세스에 의해 직접 액세스될 수 있도록 만들어 액세스 타임(Access Time)이 빨라지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이 개선됨 |
Shell | 셸이란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려어 해석기 |
Singleton | 싱글톤은 디자인 패턴의 하나로 하나의 객체를 생성하면 생성된 객체를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지만,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참조할 수는 없는 디자인 패턴 |
Single-user system | 단일 사용자 시스템이란 임의로 주어진 시간에 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
SIS | 전략적 정보 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이란 기업이 경쟁에서 승리하여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는 뜻으로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 이용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
Six Sigma | 식스 시그마란 품질 혁신과 고객 만족을 달성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방법 |
SLA | 서비스 수준 협약((Service Level Agreement)이란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가 제공될 서비스 및 그와 연관된 여러 조건들에 대한 서로의 책임과 의무사항을 기술해놓은 협약서 |
Sliding window | 슬라이딩 윈도란 전송에서 송수신 동기 정보의 일반적인 관리 체계로 수신 측이 수신할 수 있는 최대 패킷의 수(윈도우 사이즈)를 정해서 수신 측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받지 않더라도 정해진 패킷의 수만큼은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
Smart car | 스마트 자동차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 편의를 높이며 궁극적으로 ‘자동 운전’을 추구하는 쟈동차 |
Smart data | 스마트 데이터란 실제적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 |
Smishing(SMS phishing) | 스미싱이란 SMS와 Phishing의 결합어로 문자메시지를 이용 피싱하는 방법, 해커는 핸드폰 사용자에게 웹사이트 링크를 포함한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휴대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트로이목마를 주입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휴대폰을 통제할 수 있게됨 |
SMTP | 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이란 TCP/IP의 상위층 응용 프로토콜의 하나로, 컴퓨터 간에 전자 우편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
SNG | 에스엔지(Satellite News Gathering)란 야외에서 획득한 취재물을 위성을 통해 스튜디오로 전송하는 방식 |
Sniffing | 스니핑이란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의 하나 |
SNMP |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이란 TCP/IP의 망 관리 프로토콜(RFC 1157), 라우터(router)나 허브(hub) 등 망 기기(network agent)의 망 관리 정보를 망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규약 |
Snooping | 스누핑이란 네트워크상에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스누퍼)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의 정보를 염탐하여 불법으로 가로채는 행위 |
SOA |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Service-Oriented Architecture)란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 정보를 누구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간주하고 연동과 통합을 전제로 아키텍처를 구축해 나감 |
SOAP |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로 웹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한 객체 간의 통신 규약 |
SoC(System on Chip) | SoC는 한 개의 칩에 완전 구동이 가능한 제품과 시스템이 들어 있는 것 |
socket | 소켓이란 노드 주소와 서비스를 식별하는 포트 번호로 구성된 어떤 통신망의 특정 노드상의 특정 서비스를 식별하는 식별자 |
Spatial locality | 공간 국소성이란 하나의 기억 장소가 참조되면 그 근처의 기억 장소가 계속 참조되는 경향이 있는 성질 |
Spoofing |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을 임의로 변경하고 시스템 권한 탈취 등의 공격, 그 대상은 MAC, IP, Port 주소가 될 수 있다 |
Spooling | 스풀링이란 주변 장치에 대한 데이터 출력이나 저속의 주변 장치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있으면, 주변 장치의 처리 대기 상태가 발생하는 것 |
Spyware | 스파이웨어란 사용자의 동의 없이 또는 사용자를 속여 설치되어 광고나 마케팅용 정보를 수집하거나 중요한 개인 정보를 빼가는 악의적 프로그램 |
SQL Mapping | 프로그래밍 코드 내에 직접 SQL 코드를 작성하여 DBMS의 데이터에 접속하는 기술 (예-JDBC, ODBC, ByBatis) |
SSL | Secure Sockets Layer의 약어로 인터넷상에서 데이터 통신 보안을 제공하는 암호 프로토콜 |
Stack | 스택은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십, 삭제가 이루어지는 자료구조,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방식, 메모리에서 스택 영역이란 함수의 매개 변수와 지역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
Stack trace | 스택 트레이스란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실행 중에 호출한 메소드의 기스트를 기록한 것 |
static variable | 정적 변수란 프로그램 번역 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적재 시간에 기억 장소를 할당받는 변수, 전체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료까지를 생존 기간으로 하며 동일 기억 장소를 보유함 |
story | 백로그에 담겨질 요구사항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을 간단한 시나리오로 표현한 것 |
Stress testing | 스트레스 테스트란 부하테스트를 확장한 테스트로, 애플리케이션이 과부하 상태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 하는 테스트 |
Striming | 인터넷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 |
Structured Query Language(SQL) | SQL은 시퀄이라고도 하며 사용자들이 단말기를 통해 대화식으로 쉽게 DB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화된 비절차식 질의 언어이다. DDL, DML, DCL로 구분됨 |
Subnet | 서브넷이란 여러개의 LAN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원래의 네트워크주소를 확장하여 구성된 독립네트워크를 의미 |
SUD |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란 서비스 접근점(SAP)를 통해 상하위계층끼리 주고받는 정보의 단위 |
SVG | Scalable Vector Graphics(확장 가능한 벡터 그래픽)의 약자,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 기반 포맷 |
SYN | 동기 신호 문자(Synchronous Idle Character)란 동기 신호 방식에서 다른 기호를 전송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기를 취하거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 |
Syntax error | 구문 오류란 컴퓨터 명령어의 구문(syntax)을 잘못 사용해서 생기는 오류 |
system architecture | 시스템 아키텍처란 시스템 내부에서 각각의 하위 시스템들이 어떠한 관계로 상호 작용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이나 동작 원리를 표현한 것 |
System catalog | 시스템 카탈로그란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 |
TCL | 트랜잭션 제어어(Transaction Control Language) 데이터 접근 제어어(DCL)에서 COMMIT, ROLLBACK 연산만을 별도로 분리한 언어 |
TCP |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이란 OSI 기본 참조 모델을 기준으로 제4계층(전송 계층)에 해당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프로토콜(IP)과 함께 TCP/IP를 구성함 |
Template Element | 재사용 가능한 HTML 템플릿을 정의하는 요소 |
Temporal locality | 시간 국소성이란 현재 프로그램에서 참조되고 있는 기억 장소는 조만간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은 특성 |
Test case | 테스트 케이스란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이 되는 문서화된 항목으로 시험할 구체적인 내용을 문서화한 것으로 직접 시험을 수행하는 근간이 되고, 시험을 수행했다는 증거가 되며, 시험이 커버하는 범위를 표현함 |
test oracle | 테스트 오라클이란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예측 시험 결과를 계산하거나 실제 결과가 정확한지를 확인하는 메카니즘이나 장치 (facilities) |
Thrashing | 스래싱이란 가상 기억 장치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이 접근한 페이지나 세그먼트를 디스크에서 주기억 장치로 올리기(load) 위한 페이지 결함(page fault)이 너무 자주 일어나 프로그램의 처리 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상태 |
Thread | 스레드란 프로그램 내에서의 실행되는 작업 단위로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를 의미 |
TOC(Total cost of ownership) | 총 소유 비용이란 PC나 서버 등의 도입 비용뿐만 아니라 향상(upgrade)이나 유지 보수, 교육 연수 등과 같이 도입 후에 드는 여러 가지 비용을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의 총비용 |
TP-Monitor | 트랜잭션 처리 모니터(Transaction Processing monitor)란 항공기, 철도 예약 업부 등과 같은 온라인 트랙잭션 데이터를 처리 및 감시하는 미들웨어 |
Transaction |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혹은 한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 |
Transparency | 투명성이란 어떠한 사실의 존재 여부를 염두에 두지 않아도 되는 성질로 위치, 중복, 병행, 장애 투명성이 있음 |
Treat | 위협이란 시스템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컴퓨터 보안 사고의 잠재적 원인 |
Tree | 트리는 노드(Node)와 가지(Branch)를 이용하여 사이클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한 특수 그래프 형태 |
Trigger | 트리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입력,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됨 |
Trojan horse | 트로이 목마란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계속적인 불법 침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내에 부호를 만들어 놓음으로써 영구적으로 시스템 내에 상주할 수도 있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후에 그 자취를 모두 지워버릴 수도 있음 |
Tuple | 튜플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행을 의미 |
Tvishing | 티비싱이란 텔레비전(TV)과 개인정보 낚시질을 뜻하는 피싱(Phishing)의 합성어, 스마트TV에 악성 소프트웨어를 설치해 스마트TV에 대한 최고 접근권한을 획득 후 TV 기능을 악용하는 피싱 방법 |
UDDI |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의 약어로 인터넷에서 전 세계의 비즈니스 목록에 자신의 목록을 등재하고 검색하기 위한 XML 기반의 공용 등록부(registry) 서비스 |
UDP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이란 TCP/IP프로토콜 전송계층 통신 프로토콜중의 하나로서 비연결성이며 순서제어가 없음 |
UI |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란 사용자와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자와 프로그램이 상호 작용하는 프로그램의 일부분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 통합 모델링 언어이며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을 정희하는 것으로 시스템 분석, 셜계, 구현 등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시스템 개발자와 고객 또는 개발자 상호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표준화한 대표적인 객체지향 모델링 언어 |
Underflow | 자료가 없어서 자료를 제거할 수 없는 상태 |
UNDO | 기록한 내용을 취소 |
Unicast | 유니캐스트란 메시지의 수신 주소를 1개만 지정하는 1:1 통신 형태 |
unit test | 단위 테스트란 원시 코드를 시험 대상으로 하며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시험하는 최소 수준의 시험 |
UNIX | 유닉스란 미국 벨(Bell) 연구소가 프로그래밍 연구와 개발을 촉진시킬 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개발한 다수 사용자를 위한 운영 체계 |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균일 리소스 식별자)의 약자, 인터넷 리소스를 식별하는 문자열 |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균일 리소스 지시자)의 약자,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
URLLC | 초고신뢰 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이란 5세대 이동 통신(5G) 망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가 매우 높고 지연 시간이 매우 짧은 통신 |
USIM | 유심 카드(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란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심(SIM) 카드와 범용 IC 카드(UICC)가 결합된 형태로써 사용자 인증, 과금, 로밍 등 가입자 정보를 담고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되는 스마트 카드 |
USN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란 각종 센서에서 감지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
Utility program |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란 컴퓨터의 여러 가지 처리 과정을 보조하여 시스템을 유지하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만든 프로그램 |
Validator | 웹 문서가 표준안에 따라 만들어졌는지, 접근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해 주는 도구 |
View | 뷰란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로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 있는 것처럼 간주됨 |
visibility | 릴리즈 기간을 짧게 반복하면서 개발 과정에서 제품 소프트웨어의 일부 기능이 구현될 때마다 고객에게 이를 확인시켜주면, 고객은 요구사항이 잘 반영되고 있음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 의미 |
VLAN | 가상랜(Virtual Local Area Network)이란 물리적인 망 구성과는 상관없이 가상적으로 구성된 근거리 통신망(LAN) |
VM |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이란 실제 물리 컴퓨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하여 만들어진 또 다른 가상의 컴퓨터 시스템 |
VPN | 가상 사설 통신망(Virtual Private Network)이란 공중망 상에 사설망을 구축하여 마치 사설 구내망 또는 전용망 같이 이용하는 통신망 |
VRM | 판매자 관계 관리(Vendor Relationship Management)란 개인이 기업에 제공할 개인 정보와 선호도를 개인이 직접 관리하는 기술,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와 정반대 개념 |
W3C | World Wide Web Consortium, 웹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적인 조직 |
WAI |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W3C 프로젝트 |
Wake up |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walkthrough | 워크스루(검토회)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작업 내역을 개발자가 모집한 전문가들이 검토하는 것 |
war | Web application ARchive의 약어로 java Servlet, java Class, xml 및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배포용 패키지 형식 |
WAS(Web Application Server) |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하는 동적인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들웨어, 주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동해서 사용함 |
WBS | 작업 분할 구조(Work Breakdown Structure)란 프로젝트를 위해 완료될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작업의 구성과 각 구성 요소 또는 작업의 크기, 비용 및 기간에 대한 프로젝트 팀의 이해를 나타내는 작업 계층 구조 |
WCAG | 웹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 |
Web Storage | 클라이언트 측 데이터 저장 기술 |
Web Workers |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하는 스크립트 |
WebAssembly | 웹에서 고성능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이진 포맷 |
WebRTC (Web Real-Time Communication) | 웹 애플리케이션 간의 실시간 통신을 위한 기술 |
white-box testing | 화이트박스 테스트란 내부 구조를 분석해서 프로그램의 모든 처리 경로에 대해 시험하여 프로그램 내부 구조의 결함 여부를 시험하는 방식 |
WLAN |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란 무선 접속점(AP)이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랜 카드가 장착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 |
WMAN | 무선 대도시 통신망(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이란 고정 점대다점(Fixed Point-to-Multipoint) 연결중심의 광대역 무선 네크워크를 위한 대도시 영역을 커버하는 통신망 |
work load | 작업 부하란 주어진 시간 안에 컴퓨터 시스템이 처리해야 하는 작업의 양과 작업의 성격 |
Working set | 워킹 셋이란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
Worm | 웜이란 다른 파일에 기생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자신을 복제하여 확산함으로써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른 특징을 가지는 악성코드 유형 주로 메일이나 네트워크 공유폴더 등을 통해 전파되어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부하를 높이는 증상을 보임 |
WPAN | 단거리 무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이란 사용자 주변의 수 미터(m) 이내의 거리에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 |
WSDL | 웹 서비스 기술 언어(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로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위해 사용되는 확장성 마크업 언어(XML) 기반의 언어 |
WWAN | 무선 광역 통신망(Wireless Wide Area Network)이란 유선 통신망을 설치하기 어려운 넓은 지역에서 무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 |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 가변적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가변적 마크업 언어,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도록 간결성, 보편성, 활용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 인간과 기계가 모두 이해할 수 있는 텍스트 형태로 마크업 포맷을 정의하기 위한 메타 언어 |
XSS |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Cross Site Scripting)이란 게시판, 웹 메일 등에 삽입된 악의적인 스크립트에 의해 페이지가 깨지거나 다른 사용자의 사용을 방해하거나 쿠키 및 기타 개인 정보를 특정 사이트로 전송시키는 공격 |
ZigBee | 지그비란 저속, 저비용, 저전력의 무선 망을 위한 기술, 주로 양방향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WPAN) 기반의 홈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망에서 사용되는 기술 |
개발 용어
영어 | 한글 | 정의 |
DTD | DTD | Document Type Definition의 약자, 브라우저에 어떤 문서형 정의을 적용할 것인가를 선언한다. |
Validator | 벨리데이터 | 웹 문서가 표준안에 따라 만들어졌는지, 접근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해 주는 도구 |
matadata | 메타데이터 |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즉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와 함께 따라가는 정보. |
Encoding | 인코딩 | 문자들의 집합을 컴퓨터에서 저장하거나 통신에 사용할 목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 |
Semantic Web | 시멘틱 웹 | 의미론적 HTML, 컴퓨터가 정보(웹 문서, 파일, 서비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의미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논리적 추론한다. |
namespace | 네임스페이스 | 서로 다른 XML 문서와 서로 인식할 수 있도록 태그로 나타나는 개념상의 공간. |
MIME-TYPE | 마임타입 |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tion Type 의 약자로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문서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해당 Data 를 |
Striming | 트리밍 | 인터넷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을 말한다. |
Pointing Device | 포인팅 디바이스 | 컴퓨터 조작을 위해 표시 화면에 보이는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쓰는 입력장치를 말한다. |
Accessibility | 접근성 | 장애인 및 비장애인 모두가 웹 콘텐츠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 |
AJAX | 비동기 JavaScript 및 XML | 웹 페이지를 새로 고침하지 않고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 |
API |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
ARIA | 접근 가능한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HTML 속성 |
BEM | 블록 요소 수정자 | CSS 클래스를 명명하는 방법론 |
Canvas | 캔버스 | HTML5에서 제공하는, 스크립트를 통해 그래픽을 그리거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요소 |
CORS |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 한 도메인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도메인에 있는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허용하는 메커니즘 |
CSS | 계단식 스타일 시트 | HTML 문서의 스타일을 지정하는 언어 |
Custom Elements | 사용자 지정 요소 | 개발자가 새로운 HTML 요소를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DNS | DNS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시스템 웹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주소의 IP 주소를 찾아주는 역할 |
DOM | 문서 객체 모델 | 웹 페이지의 구조를 표현하는 모델 |
ECMAScript | ECMAScript | 표준화된 스크립팅 언어 |
Flexbox | 플렉스박스 | 웹 레이아웃을 위한 CSS 레이아웃 모델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
Grid | 그리드 |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는 기술 |
HTML |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 웹 페이지를 작성하는 마크업 언어 |
HTTP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 웹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 |
HTTPS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 | 보안이 강화된 HTTP 프로토콜 |
IndexedDB | 인덱스된 데이터베이스 | 브라우저 내장형 데이터베이스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는 언어 |
JSON | 자바스크립트 객체 표기법 |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포맷 |
Media Queries | 미디어 쿼리 | 화면의 크기에 따라 스타일을 적용하는 기술 |
Microformats | 마이크로포맷 | 웹 상의 데이터를 의미 있게 표현하는 방법 |
PWA | 점진적 웹 앱 | 네이티브 앱처럼 동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
Responsive Web | 반응형 웹 디자인 | 다양한 장치와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웹 디자인 방법 |
SEO | 검색 엔진 최적화 | 웹 사이트를 검색 엔진에 최적화하는 방법 |
Service Workers | 서비스 워커 |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처리를 담당하는 스크립트 |
Shadow DOM | 섀도우 DOM | DOM 요소의 은닉화 기술 |
SSL/TLS | SSL/전송 계층 보안 | 인터넷 통신 보안을 위한 프로토콜 |
SVG | 확장 가능한 벡터 그래픽 | 벡터 그래픽을 표현하기 위한 XML 기반 포맷 |
Template Element | 템플릿 요소 | 재사용 가능한 HTML 템플릿을 정의하는 요소 |
URI | 균일 리소스 식별자 | 인터넷 리소스를 식별하는 문자열 |
URL | 균일 리소스 지시자 |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 |
W3C |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 | 웹 표준을 개발하는 국제적인 조직 |
WCAG | 웹 콘텐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 웹 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지침 |
WAI |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 |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W3C 프로젝트 |
Web Storage | 웹 저장소 | 클라이언트 측 데이터 저장 기술 |
Web Workers | 웹 워커 |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작업을 처리하는 스크립트 |
WebAssembly | 웹어셈블리 | 웹에서 고성능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이진 포맷 |
WebRTC | 웹 실시간 통신 | 웹 애플리케이션 간의 실시간 통신을 위한 기술 |
XHTML | 가변적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 XML 기반의 HTML 버전 |
XML | 가변적 마크업 언어 | 데이터를 표현하는 마크업 언어 |
단어 사전
단어 | 의미 | 비고 |
syntax | 구문 | |
statement | 문장(if문, for문, 함수 호출문 등) | |
expression | 평가식 | |
operator | 연산자 | |
signature | 메서드명, 파라미터, 리턴값의 타입을 표현하는 것 | |
inheritance | 상속은 이미 정의된 상위(부모)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자식) 클래스가 물려 받는 것 | |
delimiter / separator | 구분자 문자 | |
Log | 기록, 로그를 얻다 | |
stack | 쌓기, 쌓다 | |
token | 토큰, 표시, 증거,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송신권을 주고 받는 데이터 등 | |
optimize | 최적화하다 | |
normalize | 정규화하다 | |
cheatsheet | 사용법을 1페이지로 정리한 것 | |
usage | 사용방법 | |
unknown | 미지의, 정체불명의 | |
misc / miscellaneous | 다양한, 다방면의 | |
description | 설명 | |
brief | 개요, 요약하다 | |
Features | 특징, 기능, 대체로 복수형으로 사용 | |
via | ~에 의해, ~를 경유하여 | |
required | 필수의 | |
initial value / initialized value | 초기치, 초기값 | |
default value | 기본 값 | |
original value | 원래의 값, 변경전의 값 | |
current value | 현재 값 | |
parameter / argument | 인수 | |
return value / returned value | 리턴 값 | |
variable / var | 변수 | |
literal | 리터럴, 직접 기술한 값, 변수의 반대의 의미 | |
constant / const | 상수 | |
primitive data type | 프리미티브 타입(기본형, int, double, long 등 값을 가지는 타입) | |
null / nil | 존재하지 않는 것 | |
Void | 빈것 | |
prefix / suffix | 접두어, 접미어 (disconnect 의 dis 나 restart의 re 가 접두어, player의 er나 nullable의 able 이 접미어) | |
Release | 출시 | |
top | ||
middle | ||
bottom | ||
left | ||
center | ||
right | ||
front | ||
middle | ||
back | ||
side | ||
rear | ||
fill | 색칠하다 | |
depth | 심도, 깊이 | |
point | 좌표 | |
offset | 상대적인 위치 | |
size | 크기 | |
width | 폭 | |
height | 높이 | |
TRUE | 참 | |
FALSE | 거짓 | |
Exists | 존재 | |
Contains | 리스트 등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 | |
Equals | 같은지 아닌지 | |
binary number | 2진수 | |
octal number | 8진수 | |
decimal number | 10진수 | |
hexadecimal number | 16진수 | |
even | 짝수 | |
odd | 홀수 | |
add | 추가 | |
remove | 삭제 | |
append | 꼬리에 추가시 | |
prepend | 선두에 추가시 | |
start | 시작 | start / stop |
stop | 정지 | start / stop |
begin | 시작 | start / begin |
end | 끝 | start / begin |
first | 처음 | first / last |
last | 끝 | first / last |
top | 선두 | top / last |
last | 말미 | top / last |
head | 머리, 자료구조 등에서 자료의 첫번째, 마지막 의미로 사용 | head / tail |
tail | 꼬리, 자료구조 등에서 자료의 첫번째, 마지막 의미로 사용 | head / tail |
header | 헤더 | header / footer |
footer | 푸터 | header / footer |
top | 최상 | top / bottom |
bottom | 최하 | top / bottom |
up | 위 | up / down |
down | 아래 | up / down |
upper case | 대문자 | upper case / lower case |
lower case | 소문자 | upper case / lower case |
under | 미만 | under / over |
over | 초과 | under / over |
or under | 이하 | or under / and over |
and over | 이상 | or under / and over |
previous | 이전으로 | previous / next |
next | 다음으로 | previous / next |
forward | 앞으로 | forward / backward |
backward | 뒤로 | forward / backward |
foreground | 전경 | foreground / background |
background | 배경 | foreground / background |
push | 넣다 | push / pop, push / pull, enqueue / dequeue |
pop | 빼다 | push / pop, push / pull, enqueue / dequeue |
before | 전경 | before / after |
after | 후 | before / after |
parent | 부모 | parent / child / self |
child | 자식 | parent / child / self |
self | 자신 | parent / child / self |
open | 열다 | open / close |
close | 닫다 | open / close |
connect | 연결 | connect / disconnect |
disconnect | 해제 | connect / disconnect |
input | 입력 | input / output |
output | 출력 | input / output |
import | 가져오기 | import / export |
export | 내보내기 | import / export |
read | 읽기 | read / write |
write | 쓰기 | read / write |
set | 설정 | set / unset |
unset | 해제 | set / unset |
lock | 잠금 | lock / unlock |
unlock | 해제 | lock / unlock |
attach | 붙이다 | attach / detach |
detach | 떼다 | attach / detach |
enable | 유효하다 | enable / disable |
disable | 무효하다 | enable / disable |
valid | 유효 | valid / invalid |
invalid | 무효 | valid / invalid |
activate | 활성화 | activate / deactivate |
deactivate | 비활성화 | activate / deactivate |
show | 표시 | show / hide |
hide | 숨김 | show / hide |
visible | 보임 | visible / invisible |
invisible | 안보임 | visible / invisible |
available | 이용가능 | available / unavailable |
unavailable | 이용불가 | available / unavailable |
allow | 허가 | allow / deny |
deny | 불허 | allow / deny |
host | 호스트 | host / guest |
guest | 게스트 | host / guest |
server | 서버 | server / client |
client | 클라이언트 | server / client |
provider | 제공자 | provider / user |
user | 사용자 | provider / user |
create | 생성 | create / destroy |
destroy | 파괴 | create / destroy |
config | 구성 | |
setting | 설정 | |
preference | 환경설정 | |
initialize | 초기화 | |
init | 초기화 | |
setup | 설정 | |
stop | 멈춤 | 재시작할 가능성이 있으면 stop |
end | 끝 | 재시작할 가능성이 없으면 end |
finish | 완료 | 완료 했다는 의미는 finish |
stop | 멈춤 | 움직이는 것을 멈추는 것이 stop |
suspend | 일시정지 | 일시정지는 suspend |
pause | 일시정지 | 일단 움직임을 멈추는 것을 pause, 언제든 다시 재개할 수 있음 |
quit | 탈출 | 현재 상태에서 탈출하는 것이 quit |
exit | 탈출 | 출구로 나가는 것이 exit |
changed | 변경 | 전면적인 변경이 changed |
modified | 수정 | 수정이나 개선 modified |
revised | 개정 | 개정 revised |
find | 찾다 | 찾아질 것을 기대하는 것이 find |
search | 검색하다 | 찾아보는 것이 search |
clear | 지우다 | 예를 들어 파일의 내용만 지우는 것이 clear |
delete | 삭제하다 | 파일을 통째로 지우는 것을 delete |
create | 생성하다 | 창조하는 것이 create |
make | 만들다 | 무언가를 보고 만들어 내는 것이 make |
generate | 탄생하다 | 무언가를 변환하여 생성하는 것이 generate |
parameter | 파라미터 | 메서드에 정의되어 있는 것이 parameter |
argument | 인수, 매개변수 | 메서드에 전달된 값이 argument |
property | 속성 | 객체 지향의 클래스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 property |
attribute | 속성 | HTML의 태그의 속성은 attribute |
sum | 합계 | 금액의 합계, 모두 더한 것이 sum |
total | 총계 | 합계, 전체의, 모두가 total |
limits | 경계, 제한범위, 제한구역이 limits | 제한 |
bounds | 한계 내, 한계선이 bounds | 좀더 수학적인 느낌 |
range | 범위 | 값이 변경하는 폭, 상한과 하한이 결정되는 범위가 range, 범위 |
exclude | 배제하다 | 배제하다, 빼내다, 고려하지 않는다가 exclude |
ignore | 무시하다 | 무시하다, 신경쓰이지 않는 느낌이 ignore |
letter | 문자 | a나 b와 같은 문자 자체 letter |
character | 문자 | 알파벳 전체, 문자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 character |
title | 제목 | 책이나 기사의 제목, 표제가 title |
caption | 제목 | 짧은 설명문, 페이지의 제목이 caption |
issue | 이슈 | 문제, 논점, 쟁점, 논해야 하는 것이 issue |
problem | 문제 | 곤란해 질 만한 문제로, 해결이 필요한 것이 problem |
individual | 개별 | 많은 사람들에 대해 개인일 경우 individual |
personal | 개인적인 | 사람 수에 관계없이, 다른 누구도 아닌, 개인을 나타낼 때 personal |
private | 사적 | public(공적)에 반대인 private(사적) |
just | 단지 | 무언가를 기준으로 딱, 그것을 가리킬 때 just |
only | 오직 | 절대적인 의미로, 유일한 것을 가리킬 때 only |
Apply | 수리 | 수정, 수리, 고정, 결정 |
Fix | 적용 | 설정 등을 적용하다 |
728x90
'frontend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브라우저 렌더링 성능을 높히는 개발 (0) | 2024.05.24 |
---|---|
[WEB] 웹 크로스 브라우징 테스트 및 구현 방법 (0) | 2024.05.24 |
[WEB] SSL인증서 TCP와 SSL/TSL (0) | 2024.05.22 |
[WEB] 웹 프론트엔드 기초 - 4.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드맵: 모던 프론트엔드 가이드 (0) | 2024.05.22 |
[WEB] 웹 프론트엔드 기초 - 3. 프론트엔드 탄생 배경: 프론트엔드, 백엔드 (0) | 2024.05.07 |